많은 사람들이 고양이는 강아지를 싫어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제가 봐도 그렇게 보이기는 하지만, 그런 행동들은 감정적으로 싫어서 라기 보단 고양이와 강아지의 성격적인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쫓는 것을 좋아하는 강아지 vs 쫓기는 것 싫어하는 고양이
강아지는 사교성이 높은 늑대의 후손입니다. 반면 고양이들은 외톨이로 알려진 아라비아 야생 고양이의 후손입니다.
이 같은 특성은 현재의 강아지와 고양이들도 지니고 있습니다. 강아지는 특히 먹잇감이 도망치고 있을 때 쫓는 본능이 있고, 고양이는 쫓기는 것을 싫어합니다. 강아지는 놀이라고 생각하지만 고양이 입장에서는 놀이가 아닌 것입니다.
게다가 강아지는 선천적으로 상대에 대해 엄청난 친화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잘 알지 못해도 마치 베프인 것처럼 다가가서 소통하려고 하지만,
고양이는 일단 모르는 대상에게 망설이며 상황을 지켜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니 자신은 친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강아지가 놀자고 하면 귀찮아 할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나이 차이가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새끼일 때 서로를 소개한다면 더 잘 어울려 지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새끼 고양이와 강아지는 이제 막 세상을 배우고 있는 중이기에 관계를 맺는 것에 더 적극적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나이 많은 노령묘 혹은 노견의 경우 귀찮게 하는 강아지, 고양이가 싫을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이유로는 견종별 특성 차이에서 비롯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고양이가 강아지를 싫어하는 이유는 사실 성격 차이가 가장 큽니다. 주로 강아지가 선을 넘지 않고 고양이와 놀이를 하는지에 달려있습니다. 특히 고양이와 잘 지내는 견종은 골든 레트리버, 체스키 테리어, 저먼 셰퍼드, 비어디드 콜리라고 합니다.
고양이와 강아지 소개하는 방법
태생적으로 성격이 다른 고양이와 강아지는 적응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사람의 욕심에 따라 강제적으로 소개하고 친해지라며 한 공간에 놔두게 된다면 도리어 서로를 적대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고양이에게 강아지를 소개할 때 준비해야 할 사항을 체크해봅시다.
-고양이와 강아지를 서로 소개한 후, 바로 혹은 시간이 지나고 고양이가 강아지와 함께 있기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가 도망가고자 할 때를 대비해 문을 열어놓거나 캣타워처럼 강아지가 방해할 수 없는 휴식공간을 마련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양이와 강아지를 같은 공간에서 인사를 시킬 때에는 강아지를 리드 줄로 제어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혹시 강아지가 앞으로 달려 나가려고 한다면 리드 줄로 제어하며 몇 걸음 뒤로 물러서고,
강아지의 흥분이 가라앉고 조용히 앞으로 나아간다면 간식을 주며 칭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고양이는 강아지에게 쫓기거나 공격을 받지 않으면서 조용히 강아지와 공간을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이때, 고양이와 강아지가 예상보다 친해질 기미가 보인다고 둘을 가까이 마주치게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종종 강아지 얼굴 앞에 고양이를 데려다 놓는 경우가 있는데 갑작스러운 냥냥 펀치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냥냥 펀치를 맞은 강아지가 심하게 놀라면 트라우마로 남을 수도 있습니다.
-소개 후 안전문으로 격리한 상태로 시간 보내기
처음 강아지와 고양이를 소개한 후에도 적응의 시간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고양이는 자기 영역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당분간은 강아지가 고양이의 공간을 침범하지 못하도록 안전문으로 격리해둡니다.
격리된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알게 되면 안전문을 없앤 후에도 별문제 없이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새로운 동물 가족 맞이 하기 전 준비해야 할 것은?
새로운 동물이 오면 원래 있던 동물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급격한 변화에 스트레스받지 않도록 미리 환경 변화에 적응시키도록 합니다.
-새로운 동물이 도착하기 일주일 전 안전문 설치해놓습니다.
-안전문 없이 특정 방의 문을 닫아 둘 계획이라면 새로운 동물 도착 전 그 방문을 미리 닫아둡니다.
-새로운 동물이 쓸 집이나 용품들을 미리 배치해둡니다.
-밥 먹는 위치를 변경할 계획이라면 미리 바꾸어 놓습니다. 이때 서로의 밥 먹는 공간은 멀리 떨어트려놓는 것이 좋습니다.
-호르몬 영향으로 인한 공격성이 우려된다면 중성화 수술도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고양이와의 만남 후 강아지의 흥분도가 높아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충분한 강아지 산책을 통해 에너지를 미리 발산시킵니다.
서로 다른 성향을 가진 동물을 같이 키운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지만,
서로를 천천히 받아들일 수 있게 도와준다면 다 같이 행복하게 지낼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댓글